본문 바로가기

전복이란?

자연과 사람을 먼저 생각하는 (사)한국전복산업연합회가 되겠습니다.

전복이란?

전복의 종류

우리나라에서 서식하는 전복의 종류는 2월에 수심 25m층의 수온 12°C가 되는 등온선을 기준으로 북쪽은 한류계전복인 참전복과 남쪽은 난류계 전복인 말전복, 시볼트전복, 까막전복, 오분자기 등 5종류입니다.
  • 참전복
    서식지는 우리나라 남부 수심 4~5cm이며 길이가 13cm 미만으로 그리 크게 자라지 않는다. 그리고 7cm정도 자라자면 4~5년이나 걸린다.
  • 말전복
    말전복은 우리나라의 제주도 수심 10~20m의 암벽에서 주로 서식하며 길이가 10cm, 너비가 10cm, 무게가 400g이나 되는 것이 보통이며, 때로는 무게가 1kg이나 되는 것도 있다. 성장도 7cm정도 자라는데 2~2.5년 밖에 걸리지 않는다.
  • 오분자기
    오분자기는 전복의 일종이라고 하지만 아무리 큰 것이라도 길이가 7~8cm를 넘지 못하는 성장의 한계로 인해 전복보다 작기 때문에 엄밀한 의미에서 전복과는 구별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있다.






  • 둥근전복
  • 녹색전복
  • 마대오분자기
  • 왕전복




전복은 전복과에 속하는 조개류의 하나로 4~5월에 산란을 하는데, 이 시기에는 전복 내장에 독성이 있으므로 장이 약한 사람은 내장의 생식을 피하는 것이 좋다. (살짝 익혀서 먹는 것이 좋다) 전복은 조개류 중에서 수분 함량이 많고 단백질, 지방의 함량은 적은 편이다. 또 비타민과 칼슘, 인 등의 미네랄이 풍부하여 옛날부터 산모의 젖이 나오지 않을 때 전복을 고아 먹이면 큰 효과를 보았다고 한다.

우리 나라에서는 흔히들 살짝 데쳐 초고추장에 찍어 술안주로 먹기도 하고, 전복죽을 쑤어 먹기도 한다. 영양이 풍부한 전복죽은 회복기의 환자뿐 아니라 과음 후 간기능 회복에 좋다고 알려져있다.

전복을 이용한 요리는 여러 가지 있지만 제주도에서 환영을 받는 것은 '생전복회'이다. 전복을 깨끗이 씻은 다음 집어먹기 편하게 얇게 썰어 내놓는데, 이 때 전복의 똥이라고 할 수 있는 생복 내장을 함께 내놓는 것이 통례로 되어 있다. 전복 자체에도 높은 영양가를 지니고 있지만 이 똥에는 보다 높은 영양가가 있다. 전복 내장은 단골 손님에게만 주는 보양식으로 알려져있다.

또 비타민과 칼슘, 인 등의 미네랄이 풍부하여 옛날부터 산모의 젖이 나오지 않을 때 전복을 고아 먹이면 큰 효과를 보았다고 한다. 전복을 쪄서 응달에 말려 저장하면 3∼4년이 지나도 모양, 색깔의 변함이 없어 예로부터 중국 요리에 많이 쓰였다. 미국 서해안에서는 전복을 스테이크로 많이 애용하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흔히들 살짝 데쳐 초고추장에 찍어 술안주로 먹기도 하고,전복죽을 쑤어 먹기도 한다. 영양이 풍부한 전복죽은 회복기의 환자뿐 아니라 일반인들의 건강 별미로도 좋다. 전복을 이용한 요리는 여러 가지 있지만 제주도에서 환영을 받는 것은 생복회이다. 생복회는 전복을 깨끗이 씻은 다음 집어먹기 편하게 얇게 썰어 내놓는데, 이때 전복의 똥이라고 할 수 있는 생복 내장을 함께 내놓는 것이 통례로 되어 있다. 전복 자체도 높은 영양가를 지니고 있지만 이 똥에는 보다 높은 영양가가 있다. 간장보호, 피로회복, 시력보호, 심근경색예방의 효과를 가진 타우린이 풍부한 해산물이다. 전복을 비롯한 해물류는 소양인에게 이롭다.

전복은 전복과에 속하는 조개로 조개류의 귀족이라 할 만큼 영양면에서나 맛에서 다른 해산물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이며 가격 또한 가장 비싼 해산물 중의 하나이다. 전복을 먹으면 병후회복에 좋다는 말이나 정력에 좋다는 말은 전복내에 포함된 영양적 가치에서 찾을 수 있는데, 전복에는 아르기닌(arginine) 이라는 아미노산이 1100mg으로 타 식품보다 월등히 많고 , 아르기닌 성분은 성력발현에 깊이 관계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옛부터 내려오는 경험적 임상결과이기 때문에 그 가치는 충분히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전복은 수심 4-20m까지 종에 따라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5종이 서식하고 있다. 현재의 자연산은 대부분 참전복이고 제주 지방의 큰 전복, 말전복, 오분자기 전복이 잡히고 있고, 양식산의 대부분은 참전복이다.